퇴직공무원협동조합

관련사이트이동

퇴직공무원협동조합

지역사회에 공헌하고 이웃과 나눔을 실천하는

퇴직공무원협동조합

부석사 기행(1)
  • 조병욱
  • 2016-11-18
  • 조회수 262
부석사(浮石寺)
 
깊어가는 가을 정취가 물씬 풍기는 날 산사를 찾았다.
영주 부석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산지 형 가람이다 구릉에 사찰이 건립되었는데도  지형을 거스르지 않고산과  어울려   있다그래서 부석사가  있는 봉황산이  멋있어 보인다.   사찰을 창건한 의상스님의 화엄사상 처럼  티끌 속에 시방세계가 담겨 있고온갖 우주도  티끌 속에 담겨 있듯  영주 소백산 국립공원 봉황산 기슭에는 불교 화엄종의 근본도량인 부석사가 있다.
이 절은 신라 문무왕16(676)에 의상대사 (625-702)가 창건했는데
의상대사는 당나라에 건너가 화엄종을 연구하고 돌아 와 이 땅에 화엄종을 열었고
양양 낙산사 . 의성 고운사 등 10여개의 사찰을 건립한 불교계의 큰 스님이다.
 
부석사에는
국보 5(무량수전. 석당. 조사당. 소조아미타여래상. 조사당벽화)
보물 4(자인당 석조비로자나불상. 삼층석탑. 당간지주. 고려각판)이 있다.
 
무량수전(無量壽殿; 국보 제18)
 
무량수전은 정면 5.측면 3칸에 팔작지붕(지붕 위에 까치박공 < 용마루 양 끝에 붙이는 사자나 귀면형태의 기와 >이 달린 삼각형의 벽이 있는 지붕) 이고
추녀 네 기둥이 8活柱(목재 등을 받치거나 버티는데 쓰는 굽은 기둥)로 받쳐주고 있는데
기둥은 알맞은 배흘림 (궁궐이나 사찰 기둥 중간부분이 더 굵고 위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기법)으로 안정감을 주면서 착시현상을 보완하는 최고급 목조건축법으로 만들었다..
간결한 두공(枓拱; 공공청사나 사찰에서 길게 짠 화반 대신에 쓰는 나무)과 모서리기둥에 보이는 귀솟음수법(건물 전체의 균형을 잡기위해 기둥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는 건축기법)
자잘한 정자살과 분합문(分閤門; 마루나 방 앞에 설치하여 접어 열 수 있게 만든 큰 문) 크기는 24.3cm×45cm 이다. 시원스런 포벽(包壁 : 다포형식(多包形式)에서 기둥 상부 이외에 기둥 사이에도 공포 (栱包; 전통 목조건축에서 처마 끝의 하중을 받치기 위해 기둥머리 같은 데 짜 맞추어 댄 나무 부재로, 건물의 가장 중요한 의장(意匠) 과 장식의 기능도 겸하는 것)를 배열한 건축양식을 말하며 건물의 공포와 공포 사이에 조성한 벽) 그 위에 가늘고 긴 기왓골이 운치를 더 한다.
이 불전은 1916년 해체수리 때 발견된 묵서명(墨書銘; 도자기 . 항아리 등 밑에 묵으로 쓴 글씨)에 고려 우왕 2(1376)에 중창한 것으로 봉정사 극락전과 더불어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로서 사찰 건축구조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소조아미타여래좌상(塑造阿彌陀如來坐像; 국보 제45)
 
이 불상은 현존하는 소조불(塑造佛; 찰흙 석고 등으로 만든 불상)로는 가장 크고 또 아름답다. 무량수전에는 아미타여래가 주존(主尊)으로 봉안되어 있는데, 이 불상이 모셔져 있는 전각이 무량수전이기에 불상도 아미타불로 추정하고 있다. 이 불상의 특징은 무량수전 주불이 남향인데 동향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불상은 석가여래의 극적인 성도 순간을 상징하는 항마촉지인 (降魔觸地印; 오른손을 무릎 위에 올려놓고 두 번째 손가락으로 땅을 가리키는 모양인데. 이는 고타마 싯다르타’(BC563-483)가 보드가야의 보리수 아래에서 성도하는 순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의 수인(手印; 모든 불·보살의 서원을 나타내는 손의 모양)을 맺고 있고, 머리는 매우 울퉁불퉁하다. 머리와 육계(불두에 틀어 올린 머리)의 경계 부분 중앙에 원형의 장식이 있다.
풍만한 얼굴에 눈꼬리가 길게 치켜 올라가고 입은 꼭 다물어 근엄한 표정을 짓고 있으며, 두 귀도 활처럼 길게 휘었다. 떡 벌어진 어깨와 당당한 결과부좌(結跏趺坐; 오른쪽 발을 왼쪽 허벅다리 위에, 왼쪽 발을 오른쪽 허벅다리 위에 놓고 앉는 모양)의 자세에는 부처의 위엄이 서려 있고,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있는 대의에는 도드라진 옷 주름을 일률적으로 새겼으나 얇게 몸에 밀착되어 몸의 굴곡이 완연하면서도 유연성이 뛰어난 불상이다.
 
 
 
석등(石燈; 국보 제 17)
 
화강암으로 통일신라 때 만든 팔각석등 인데 통일신라를 대표하는 가장 아름다운 걸작으로
부처의 광명을 상징하기에 光明燈 이라하기도 한다.
높이 2.97미터, 8각을 기본형으로 사각형 지복석 [地覆石 : 땅바닥에 까는 돌]위에
사각형 地臺石을 얹었고 불을 켜는 화사석 역시 8각형으로 4면에 화창을
남은 4면은 연꽃무늬대위에 보살상이 양각되어 비례의 조화가 아름다운 석등이다.
 
조사당(祖師堂; 국보 제19)
 
의상대사의 초상화를 모시고 있는 건물로 정면 3, 측면1 칸의 맞배지붕( 건물의 모서리에 추녀가 없고 용마루까지 측면 벽이 삼각형으로 된 지붕) 이다.
고려 우왕 3(1377)에 건축된 것으로 조선 성종 24년에 중창 했다.
이 조사당에는 선비화이야기가 유명하다.
선비화란 의상대사가 평소 짚고 다니던 지팡이를 땅에 꽂아서 자라난 골단초
의상대사는 이 나무의 싱싱함과 시듬을 보고 자신의 생사를 알라고 했다한다
참배객들의 손길을 많이 타서 지금은 창살로 막아 놓아 씁쓸 음 했지만
그래도 싱싱하게 자라주는 것에 감사하고 신기할 따름이다.
 
조사당벽화(祖師堂壁畫
공유하기 :
-->

퇴직공무원협동조합

법인:퇴직공무원협동조합 대표자 한찬희 주소:(35313​) 대전광역시 서구 동서대로 1043 4층(내동)
전화번호:042-527-5002, 042-526-3002 팩스:042) 526-5008 신고번호:대전-서구-국내-22-0001
개인정보관리책임자:이사 이임수 사업자번호:314-86-54597 이메일 : argo5002@argo.or.kr

Copyright ⓒ퇴직공무원협동조합. All RIGHTS RESERVED.